빗금

위키백과,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.
(/에서 넘어옴)
이동: 둘러보기, 검색
슬래시
문장 부호
아포스트로피 ( ’ ' )
괄호 ( [ ], ( ), { }, ⟨ ⟩ )
쌍점 ( : )
쉼표 ( , )
줄표 ( , –, —, ― )
줄임표 ( …, ... )
느낌표 ( ! )
마침표 ( .。 )
붙임표 ( -, )
물음표 ( ? )
따옴표 ( ‘ ’, “ ” )
쌍반점 ( ; )
빗금 ( / )
공백 문자 ( ) () () (␠) (␢) (␣)
가운뎃점 ( · )
일반 타이포그래피
앰퍼샌드 ( & )
골뱅이표 ( @ )
별표 ( * )
역슬래시 ( \ )
불릿 ( )
캐럿 ( ^ )
저작권 기호 ( © )
통화 기호 ( ¤ )
칼표 ( †, ‡ )
도 기호 ( ° )
중복 부호(같음표) ( )
역느낌표 ( ¡ )
역물음표 ( ¿ )
해시 기호 ( # )
숫자 기호 ( )
서수 기호 ( º, ª )
백분율 기호 · 천분율 기호 ( %, ‰, )
단락 기호 ( )
프라임 기호 ( )
등록된 상표 기호 ( ® )
부분 기호 ( § )
서비스 기호 ( )
음성 녹음 저작권 기호 ( )
물결표 ( ~ )
상표 기호 ( )
밑줄 문자 ( _ )
수직선 ( |, ¦ )
별자리표 ( )
손가락표 ( ☜, ☞ )
그러므로 기호 ( )
왜냐하면 기호 ( )
물음느낌표 ( )
아이러니 기호 ( ؟ )
마름모 ( )
참고표 ( )
붙임줄 ( )
전화 기호 ( ☏, ☎ )
온천 기호 ( )
기호 ( ♂, ♀ )
온도 기호 ( ℃, ℉ )
오전/오후 기호 ( ㏂, ㏘ )

v  d  h

빗금 또는 슬래시(slash)는 문장 부호의 일종이다. 이 기호는 오른쪽 위에서 왼쪽 아래로 내려 그은 선 모양이다. 슬래시는 아스키 문자 47에 해당하며 유니코드에서는 U+002F에 배당되어 있다.

역사[편집]

슬래시의 역사는 고대 로마 시절로 거슬러 올라간다. 중세 시대에 유럽에서 널리 쓰였던 프락투르 글꼴에서 하나의 슬래시(/)는 쉼표를, 두 개의 슬래시(/)는 이음표를 나타냈다. 두 개의 슬래시는 나중에 등호(=)로 발전했으며, 이를 단순화시킨 것이 붙임표(-)이다. 그리고 역슬래시 (\)는 슬래시의 반댓말을 가리킨다.

한국어에서의 사용[편집]

한국어에서는 슬래시 대신 가운뎃점(·)을 사용하는것이 맞지만, 가운뎃점은 키보드에 존재하지 않고 입력 하는 데에 시간이 오래 걸리기 때문에 가운뎃점 대신 슬래시를 쓰는 경우가 있다.

용례[편집]

영어를 비롯한 많은 언어에서 슬래시를 하이픈 대신에 사용하며, 두 단어 또는 구 사이에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나타낸다. 또한 두문자어의 두 글자 사이에 슬래시를 종종 집어 넣기도 하는데, 상황에 따라서 그 의미를 혼동할 여지가 있다.

날짜를 간단하게 표시하는 경우 슬래시를 구분자로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. 예를 들어, 2001년 9월 11일미국에서는‘9/11/2001’로, 그 밖의 많은 유럽/아메리카 국가에서는‘11/9/2001’로, 몇몇 아시아 국가에서는‘2001/9/11’로 표시된다. 특정한 경우 시간 간격을 나타내기 위해 슬래시를 두 날짜 사이에 집어 넣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, ISO 8601에서는 년월일을 슬래시 대신에 하이픈으로 구별하는 방법을 쓰고 (2001-09-11) 시간 간격을 나타내는 데 슬래시를 사용하도록 하였다. (1939-09-01/1945-05-08)

수학에서 슬래시는 분수의 분자와 분모를 구분하는 데 사용되거나, 좀 더 일반화되어 나눗셈 연산자를 나타내기도 한다. 유니코드는 이러한 용도의 슬래시를 다른 용도의 슬래시와 구별하기 위하여 분수 슬래시(U+2044) 문자와 나눗셈 슬래시(U+2215) 문자를 따로 정의하였다.

유닉스 계열운영 체제에서는 슬래시를 경로명에서 디렉터리 및 파일 이름을 구분짓는 데 사용한다. 예를 들어, ‘directory/image.jpg’는 directory라는 디렉터리 안에 있는 image.jpg라는 파일을 나타낸다. URL에서도 비슷하게 슬래시를 구분자로 사용한다. 이와 반대로, MS-DOS마이크로소프트 윈도에서는 슬래시 대신에 역슬래시를 구분자로 사용하는데, 이는 디렉터리를 지원하지 않던 초기의 CP/M이 슬래시를 명령줄 옵션을 나타내는 데 사용했기 때문이다. 하지만 이런 시스템에서도 일반적으로는, 명령줄 옵션과 혼동되지 않는 경우 역슬래시를 쓸 곳에 슬래시를 써도 같은 의미를 가리킨다.

많은 프로그래밍 언어들은 슬래시를 나눗셈 연산자로 사용하며, C, C++, 자바를 비롯한 여러 언어들이 /**/로 둘러싸인 주석(PL/I에서 비롯되었다.[1] )과 /로 시작하는 줄 단위 주석을 지원한다. (줄 단위 주석은 C에서도 C99부터 지원한다.)

주석[편집]

  1. 《자바스크립트 핵심가이드》, 더글라스 크락포드 저/김명신 역, 한빛미디어(주), 2008년, 21쪽

같이 보기[편집]

둘러보기 메뉴

Follow Lee on X/Twitter - Father, Husband, Serial builder creating AI, crypto, games & web tools. We are friends :) AI Will Come To Life!

Check out: eBank.nz (Art Generator) | Netwrck.com (AI Tools) | Text-Generator.io (AI API) | BitBank.nz (Crypto AI) | ReadingTime (Kids Reading) | RewordGame | BigMultiplayerChess | WebFiddle | How.nz | Helix AI Assistant